기후위기시계
×
News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생활/문화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지역뉴스
호남취재본부
대구&경북
PR Newswire
Special Section
D;Con
HeMil(밀리터리)
Global Insight
●
실시간 뉴스
기획기사
포토
신문구독
뉴스레터
지구,뭐래
지구,뭐래
어린이집 선생님이 창업한 이 회사, 현대차·롯데케미칼도 반했다 [지구, 뭐래?]
“장난감을 사주고 싶어도 너무 비싸서 못 사주는 어려운 가정들이 많아요. 장난감을 기부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지만, 그 과정이 일방적이어서 받는 어린이가 기분이 나빠선 안 되잖아요. 누구나 장난감을 기부하러 올 수 있고, 또 누구나 장난감을 갖고 갈 수 있는.. 그런 오프라인 공간을 만들어보고 싶어요. 처리 곤란한...
2022.05.25 06:01
경유 유세차 탄소도 뿜뿜, 소나무 4.6만그루 필요합니다 [지구, 뭐래?]
유세차를 타고 거리를 누비는 선거운동의 효과도 미미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20년 발간한 ‘선거환경의 변화에 따른 선거운동 방식의 효과 및 영향에 대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당과 후보자의 정보를 연설회나 거리연설 등에서 얻었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8%에 그쳤다. 지상파TV가 52%, 인터넷 포털이 38%였...
2022.05.20 06:00
선거공보물, 알고보니 공기까지 오염시킨다 [지구, 뭐래?]
지난 3월 대선엔 총 4억부의 선거공보물이 쓰였다. 광역단체장,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교육감 등을 모두 뽑는 지방선거는 이를 훨씬 웃돌 전망이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선 총 6억4650만부 공보물이 인쇄됐다. 김형준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환경오염 발생 등을 고려해 이젠 디지털선거운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2022.05.20 06:00
현수막·공보물·유세차…돈 쓰며 환경 해치는 선거운동 언제까지 [지구, 뭐래?]
심지어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캐한 냄새의 주범, 잉크에 포함된 알코올은 증발하는 과정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다량 배출한다. 이는 미세먼지와 오존 발생의 원인이 된다. 오성상 신구대 그래픽커뮤니케이션과 교수(한국인쇄학회장)는 “VOCs가 광화학 스모그를 만들고 대기오염...
2022.05.20 06:00
단 2주 위한 100억짜리 쓰레기…올해도 ‘선거현수막’ 10만장 쏟아진다 [지구, 뭐래?]
4년 전부터 폐현수막 재활용사업을 하고 있는 비영리단체 ‘나그네다문화센터’의 허재만 대표는 “인쇄 과정에 쓰인 잉크 등 화학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마대나 에코백 외에 용도로는 재활용되기 어렵다”며 “재활용이 정말 의미 있으려면 더 많은 지자체가 관련예산을 책정하거나 현수막이 처음부터 친환경적인...
2022.05.20 06:00
“해양오염 주범 플라스틱, 재활용만 잘 되면 착한 소재” [지구, 뭐래?]
[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기업의 존재 목적인 수익 창출을 포기하긴 힘들겠지만, 기존의 사업 방식으로는 탄소배출을 줄이기 어렵습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죠.” 나경수 SK지오센트릭 대표이사 사장은 최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은 투자를 통해 탄소 감축 기술을 개발하고 상...
2022.05.18 10:26
“1초마다 원자폭탄 4개 폭발 열에너지 바다에 흡수…해양생태계 멀쩡할 리 있나” [지구, 뭐래?]
“매년 바다에 흡수되고 있는 열 에너지가 얼마나 되는지 아세요? 1초마다 히로시마에 투하됐던 원자폭탄이 4개씩 폭발하는 수준입니다.” 남성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부교수는 최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로 바다에 엄청난 열 에너지와 탄소가 흡수되고 있으니 바다 환경과 생태계가 멀쩡할 리 없지 않...
2022.05.18 10:25
[영상] “비료, 왜 그렇게 많이 쓰세요?”…‘평당 500원’으로 지구를 구하는 법 [지구, 뭐래?]
흥미롭게도 에이아이에스의 주 고객은 ‘베테랑’ 농민들이다. 주로 귀농한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에이아이에스의 솔루션을 도입한 200개 농가 중 160개 이상이 60대 농민이 운영하고 있는 곳이었다. “왜 그런가 얘기를 들어보니, ‘옛날에 짓던 대로 안 된다’고 많이 얘기하세요. 파종...
2022.05.17 06:01
[영상] 금융시장 패닉 속에 ‘착한 투자’로 돈 버는 이 남자 “10배 뛰었다” [지구, 뭐래?]
-수익 차원에서 기후 펀드를 평가한다면? “단순히 사회적 가치만 보고 기후 섹터에 접근한 건 아녜요. 기후 섹터는 현재 어느 산업과 비교해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거든요. 현재 전 세계 벤처 투자금 중에 14%가 기후 섹터를 향하고 있다고 해요. 금액으로 따지면 연간 150조원 정도인데, 연간 성장률도 20~30% 정도...
2022.05.13 06:01
전승수 교수, “갯벌 회복엔 300년 이상 걸려, 누구도 책임질 수 없다”[지구, 뭐래?]
갯벌이 사라진다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산림은 30년만 관리하면 회복되지만, 갯벌은 최선을 다해도 회복하기까지 300년 이상 걸립니다.” 전승수 전남대 명예교수는 국제퇴적학회 한국대표 및 아시아대륙 대표 등을 역임한 해양 생태계 및 갯벌 분야의 권위자다. 이미 국내 갯벌의 약 50%는 간척으로 사라졌다. 세...
2022.05.11 08:32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정보
연재 기사
55세 고령자? 노인?… 임금피크 과연 차별의 문제인가[홍길용의 화식열전]
“쉰 살쯤 되니 하늘의 뜻을 알게 됐다(五十而知天命)” -논어- 공자(孔子)의 고백이다. 성인(聖人)의 얘기다. 평범한 사람들은 쉰 살이 되어도 세상은 알기 어렵다. 15세기 경국대전은 군역을 지는 장정의 나이를 16~60세로 정했다. 조선 정부가 쉰 살이면 몸 쓰는 데 큰 지장이 큰 없었다고 봤던 셈이다. 요즘 50대면 청춘까지는 아니겠지만 적어도 늙은이(老人)는 아니다.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5명(2021년말 기준46.8%)이 쉰 살 이상이다. 대법원에서 나이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임금을 차별하지 말라는 판결을 내렸다.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고고법) 위반이라는 판단이다. 이 법은 ‘고령자’ 정의가 남다르다. 다른 법들은 법조문에 정의하는데 이 법은 시행령에서 정한다...
홍길용의 화식열전
[르포]치솟는 대출 금리…영끌족 “이자 폭탄에 팔리지도 않아”[부동산360]
사정은 젊은 투자자들의 ‘영끌 갭투자’가 몰렸던 노원구와 강북구도 마찬가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들어 노원구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률은 0.34%에 달했다. 도봉구 역시 같은 기간 0.38%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떨어지는 매매가격과 달리 매물은 크게 늘어났는데,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에 따르면 노원구는 전달 대비 매물이 6611건에서 7139건으로 7.9% 증가했다. 강북구는 같은 기간 5.1%, 도봉구는 4.9% 늘었다. 노원구의 중계주공5단지는 전용 44㎡가 지난해 9월 6억7000만원에 신고가를 경신한 이후 꾸준히 매매 가격이 하락 중이다. 지난해 10월 같은 평형이 6억400만원에 거래됐고, 이후 5억9500, 5억7000만원까지 내려갔고, 지난 3월에는 5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중계동 ...
부동산360
‘거리두기 끝’ 캠퍼스 정상화…축제·캠퍼스투어 3년만에 재개[촉!]
축제뿐만 아니라 대입에 관심 있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캠퍼스 투어도 다시 시작되고 있다. 인하대는 지난 10일부터 캠퍼스 투어 ‘#인하대 #가보자고’ 프로그램을 재개했다.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인하대에 방문해 캠퍼스를 둘러보고 진로·진학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이에 앞서 성균관대와 전북대도 코로나19로 중단했던 캠퍼스 투어를 지난달부터 다시 진행하고 있다.
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