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PEF, 몸집은 커졌지만…경쟁 심해지고, 투자회수 어려워져
지난해 약정액 116조 사상 최대
중소형사 급증…펀드조성 경쟁↑
금리↑·유동성↓…기업가치 하락
만기도래 많아 GP간 거래 늘듯

[헤럴드경제=김성미 기자] 국내 기관전용 사모펀드(PEF) 시장이 100조원 이상 규모로 급팽창했지만 경쟁이 치열해지고, 투자회수(exit)도 어려워지며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는 모습이다. 그동안의 성장이 저금리와 유동성 장세 크게 기댔다는 점에서 금리 상승과 유동성 위축에 따른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공개한 ‘2021년 기관 전용 사모펀드 동향 및 시사점’을 보면 국내 PEF 산업은 펀드 수, 투자액 등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펀드 수는 1060개로 전년 대비 24.9% 증가했고, 약정액은 116조1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20.1% 불어났다. 약정액 중 투자액이 87조4000억원에 달해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의 ‘큰 손’임을 확인했다. 대형 M&A 상위 20건 중 PEF 참여 비중은 2019년 65%에서 지난해 85%까지 올라갔다.

호황은 신규 운용사 급증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말 PEF 운용사, 즉 업무집행사원(GP)은 394개로, 전년 대비 17.3% 증가했다. 대형 31개, 중형 161개, 소형 212개로 중소형사 중심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PEF 운용사 관계자는 “대형 GP에서 독립해 새로 GP를 설립하는 사례, 투자은행(IB) 업계에서 나와 PEF를 조성하는 사례 등 PEF 시장이 급성장하며 뛰어드는 사람 또한 많아진 것”이라고 전했다.

중소형 GP는 2019년부터 2021년 사이 134% 증가했으나 약정액 증가는 91%에 그쳤다. 경쟁 심화로 운용자산(AUM)을 늘리는데 한계에 직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31개의 대형 GP(전체의 7.9%)의 운용 규모가 전체의 57.6%를 차지하는 것을 봐도 중소형 GP 간 치열한 경쟁을 시사한다.

그나마 지난해까지는 유동성이 풍부해 출자자(LP)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올 들어 시장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중소형 GP의 성과도 엇갈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소형 GP 경쟁심화 보다 더 심각한 부분은 투자 회수다. 지난해 3300까지 치솟던 코스피는 최근 2600까지 붕괴되는 등 주식시장 변동성이 높아진데다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악재까지 쏟아지며 투자 환경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투자이행율은 75.3%로, 전년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투자회수 규모는 16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9% 감소했다. PEF가 급성장하던 2017년부터 투자회수도 매년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4년만에 뒷걸음질 쳤다.

금감원은 “2020년 대규모 회수에 따른 기저효과, 코로나19로 투자기업 실적악화 등으로 회수가 지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 들어 주가 급락 등 가치기준 자체가 하락하면서 좀처럼 투자 회수 기회를 엿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도 줄줄이 상장을 철회하는 것도 결국 기업가치 하락의 방증이다.

PEF 운용사 관계자는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기업가치가 불과 1년 새 급락하면서 인수자와 가격 눈높이를 맞추기 어려워졌다”며 “GP들 간 매매인 세컨더리 딜이 더 활발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miii0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