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년간 40대 고용률만 뒷걸음질
전경련 세대별 통계 추이 분석
OECD 평균보다 5.2%P 낮아

최근 5년 동안 전 연령대 중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 38개국 중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31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며 40대 가장들의 일자리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5년간(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 고용률이 1.3%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세대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세대별로는▷60세 이상(4.6%포인트↑) ▷15~29세(4.5%포인트↑) ▷30~39세(2.0%포인트↑) ▷50~59세(1.8%포인트↑) 순으로 증가했다. 5년간 전체 취업자 수는 2017년 2672만5000명에서 2022년 2808만9000명으로 늘었다. 반면, 40대 취업자 수는 2017년 678만3000명에서 2022년 631만4000명으로, 46만9000명 줄었다.

전경련은 “40대 인구 중 절반 이상(56.0%)은 가정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라며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해 종국적으로 국가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종별 변화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2만명), ▷제조업(-10.4만명), ▷숙박 및 음식업(-9.3만명), ▷교육서비스업(-8.2만명), ▷건설업(-7.4만명) 등의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경련은 “지난 5년간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며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고 코로나 확산,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OECD 국가 중 31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 포인트 낮았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감소 추세(-2.0%포인트)로, 콜롬비아(-6.5%포인트), 아이슬란드(-5.7%포인트), 칠레(-4.4%포인트), 에스토니아(-2.4%포인트)에 이어 OECD 38개국 중 5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40대 고용률은 올해 구조조정의 여파로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만7000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38만8000명)의 45.6%에 달했다. 비자발적 퇴직자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퇴직한 자를 의미한다. 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