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과자봉지로 딱지 치지 마세요” 선글라스도 만드는 놀라운 변신 [지구, 뭐래?]
[스타트업 아샤야(Ashaya)·인터넷 캡처]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한국인 특, 과자 봉지로 딱지 접음.

알록달록한 겉면에 빳빳하고 얇은 봉투. 과자나 라면 등의 식품을 감싸는 포장재는 주로 비닐류다. 심지어는 뜨거운 물을 부어 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좋다.

잘 구겨지지 않는 데다 부피가 큰 탓에 과자나 라면 봉투를 버릴 때 납작하게 접어 딱지 모양으로 접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과자나 라면 봉투들은 분리배출 체계에서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분류된다. 주로 ‘비닐류 OTHER’(기타 비닐류)로 표시된다.

[인터넷 캡처]

이들의 공통점이라면 안쪽이 은박으로 돼 있다는 점이 있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듯 기타 비닐류들은 두 가지 이상의 재질이 섞인 복합 재질이다.

비닐 재질 가짓수는 재활용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마트나 슈퍼에서 제공하는 투명한 비닐과 같이 단일 재질로 이뤄진 경우 폐비닐로 새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분쇄 및 세척, 가공을 거쳐 새 제품으로 만드는 ‘물질재활용(기계적재활용)’이다.

반면 라면이나 과자 봉투들은 여러 재질이 섞여있는 만큼 좁은 의미의 재활용은 할 수 없다.

[인터넷 캡처]

그럼에도 기타 비닐류들을 일반쓰레기로 버리지 않고 분리배출하도록 하는 이유는, 과자나 라면 봉투들을 연료, 즉 에너지로 재활용할 수 있어서다. 이른바 ‘에너지 재활용’, ‘열분해 재활용’이다.

기타 비닐류에 열을 가하면 기름, 열분해유가 된다. 원유 대신 공정에 투입해 석유화학제품의 원료인 나프타 등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일러 원료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열분해 재활용에 최근 집중하고 있다. 기술을 개발, 이르면 내년부터 가동할 수 있는 설비들을 갖추고 있는 상황이다.

에너지를 회수하는 열분해가 완벽한 대안은 아니다. 단순히 태워 버리는 것보다는 친환경적이기는 하지만 부수고 가공하는(물질재활용)보다는 탄소배출이 많다. 그린피스 등 일부 환경단체나 해외 정부에서는 열분해를 재활용에 포함하지 않는다.

과자 봉투 등으로 선글라스를 만든 인도의 스타트업 아샤을 창업한 아니쉬 말파니(왼쪽) [아샤야]

복합 재질로 된 과자나 라면 봉투에서 각 재질을 따로 뽑아낼 수는 없는 걸까. 인도의 한 스타트업은 과자 봉투로 만든 선글라스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인도의 스타트업 아샤야(Ashaya)는 2년여의 연구 끝에 다층 플라스틱 포장(MLP)에서 자원 회수 기술을 개발했다. 500여개 시제품을 6일 만에 완판하고 오는 6월 정식 출시 앞두고 있다.

선글라스의 테의 90%는 재활용이다. 선글라스 하나 당 과자 봉투 5개 정도 들어간다. 과자 봉투뿐 아니라 종이 클립, 우유팩 등에서 뽑아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T)을 소재로 사용했다.

이 선글라스 재활용 스타트업을 창업한 아니쉬 말파니는 “거의 모든 플라스틱 재활용 노력이 페트병 등에 집중된 반면 MLP는 재활용이 까다로워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며 “실험할 당시에는 선글라스가 우리의 히트 아이템이 될 줄 몰랐다”고 했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