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한국어판

KADIZ 확대, 동북아 긴장고조 직접요인 안될듯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8일 오후 기자실에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확대안을 공식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8일 오후 기자실에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확대안을 공식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정부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확대 선포로 주변국 긴장이 더 고조되는 것은 아닌지 관심이다.

정부는 그러나 KADIZ 발표 이전 미국, 중국, 일본 등에 충분히 설명했으며, 주변국들이 우리의 KADIZ 확대에 대체로 공감 기류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설명대로라면 아직 공식 반응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중국과 일본이 우리의 KADIZ 확대에 추가대응 조치를 내놓으면서 갈등 수위를 높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CADIZ 선포가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영유권을 놓고 분쟁을 겪고 있는 일본을 겨냥한 것이란 점은 KADIZ 확대에 대한 중국의 대응 수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강경대응 대상인 일본과는 차별을 두고 한국을 상대할 것이라는 관측도 이 때문에 나오고 있다.

실제 중국은 CADIZ에 반발한 미국과 일본에는 "중국에 이러쿵저러쿵할 권리가 없다"고 강하게 비난하면서도 한국에는 "대화와 소통을 통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싶다"고 밝혀 왔다.

일본 역시 중국과 심각한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전선을 한국쪽으로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일각에서 일본이 우리의 KADIZ 확대에 맞서 독도 상공을 자국 방송식별구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한일 양국이 정면 충돌한다는 점에서 현실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미국이 우리의 KADIZ 확대에 동의하는 기류라는 점에서 일본이 미국과 달리 우리 KADIZ 확대에 강하게 반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은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지난 6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KADIZ 확대안을 '평가'한데 이어 7일(현지시간) 국무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부통령은 한국이 검토하는 향후 조치에 대해 의견을 같이한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동의' 기류를 시사했다.

우리 정부는 확대안 발표 전까지 서울과 공관 주재국의 외교•국방 채널을 가동해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국에 KADIZ 확대안에 대해 수차례에 걸쳐 충실하게 설명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우리의 조치가 중국의 CADIZ 선포에 대해 대응해 나온 필수불가결한 조치로 타국의 이익을 침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 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국가별로 반응은 달랐으나 우리 측 조치가 국제규범에 부합하고 과도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모두 공감했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이 주변국의 요구에도 CADIZ를 조정하지 않고 있고 KADIZ 확대로 이어도 상공 등 한중일 3국의 방공구역이 중첩되는 곳도 발생한 점은 앞으로 해결 과제로 꼽힌다.

방공구역 중첩 문제가 풀리기 전까지는 이 지역이 언제든 '분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또 중국이 장기적으로 서해 등으로의 방공구역 확대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돼 변수라는 지적이다.

정부 소식통은 "해당 지역에서 우발적 충돌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존 채널을 활용한 위기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 영문 기사>

S. Korea announces air zone expansion to counter Chinese claims

South Korea announced a new air defense zone on Sunday to counter China's unilateral decision to expand its own, bolstering its sovereignty over a reef off the south coast and other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air defense and identification zone was designed to have its southern boundary match the country's broader 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and includes airspace over the South-controlled reef of Ieodo and the islands of Marado and Hongdo, the defense ministry said.

Its eastern and western boundaries remain the same as before, it said.

The ministry said the new zone will take effect beginning Dec. 15.

The announcement came in response to China's Nov. 23 decision to create a new air zone that overlaps those of South Korea and Japan, and includes Ieodo and a set of islands at the center of a territorial dispute between Tokyo and Beijing.

The Chinese decision sparked outrage from Seoul and Tokyo.

South Korea has said it won't recognize the Chinese zone and has flown aircraft through it. Seoul has also prepared to expand its own air zone after Beijing refused to reconsider its decision when the two sides held high-level defense talks last week.

"The air defense and identification zone adjustment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aviation order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the ministry said. "It does not put restrictions on civilian flight operations or infringe upon the airspace and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Ahead of today's announcement, we have offered sufficient explanations to related countries," it said. "The government will discuss with related countries measures necessary to prevent accidental military clashes within the newly adjusted air defense and identification zone."

Reactions from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varied, but all shared an understanding that the South's decision conforms to international norms and is not excessive, a government official said.

"I don't think the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ill deteriorate seriously because of this," the official said, speaking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It was the first time that South Korea has adjusted its air defense zone since it was first set by the U.S. military in 1951 to guard against the Chinese offensive during the Korean War (1950-53).

Beijing's unexpected announcement was seen as a strong sign that Beijing is taking its foreign policy assertiveness to a higher level, in part to counter U.S. efforts to increase its influence in the region under President Barack Obama's "pivot to Asia" policy.

The U.S. has raised serious concerns and said it won't recognize the Chinese zone.

The issue was a key topic for U.S. Vice President Joe Biden during his trip to Japan, China and South Korea. His talks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produced no breakthrough, with both sides sticking to their positions.

On Friday, Biden held talks with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When Park outlined South Korea's position on the issue, Biden "appreciated President Park's explanation and South Korea's efforts," officials said. (Yonhap News)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지나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