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Global warming pause linked to sulfur in China

WASHINGTON (AP) -- Scientists have come up with a possible explanation for why the rise in Earth‘s temperature paused for a bit during the 2000s, one of the hottest decades on record.

The answer seems counterintuitive. It’s all that sulfur pollution in the air from China‘s massive coal-burning, according to a new study.

Sulfur particles in the air deflect the sun’s rays and can temporarily cool things down a bit. That can happen even as coal-burning produces the carbon dioxide that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People normally just focus on the warming effect of CO2 (carbon dioxide), but during the Chinese economic expansion there was a huge increase in sulfur emissions,‘’ which have a cooling effect, explained Robert K. Kaufmann of Boston University. He‘s the lead author of the study published Monday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But sulfur’s cooling effect is only temporary, while the carbon dioxide from coal burning stays in Earth‘s atmosphere a long time.

Chinese coal consumption doubled between 2003 and 2007, and that caused a 26 percent increase in global coal consumption, Kaufmann said.

Now, Chinese leaders have recognized the effects of that pollution on their environment and their citizens’ health and are installing equipment to scrub out the sulfur particles, Kaufmann said.

Sulfur quickly drops out of the air if it is not replenished, while carbon dioxide remains for a long time, so its warming effects are beginning to be visible again, he noted. The plateau in temperature growth disappeared in 2009 and 2010, when temperatures lurched upward.

Indeed, NASA and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have listed 2010 as tied for the warmest year on record, while the Hadley Center of the British Meteorological Office lists it as second warmest, after 1998.

Sulfur‘s ability to cool things down has led some to suggest using it in a geoengineering feat to cool the planet. The idea is that injecting sulfur compounds very high into the atmosphere might help ease global warming by increasing clouds and haze that would reflect sunlight. Some research has concluded that’s a bad idea.

Using enough sulfur to reduce warming would wipe out the protective Arctic ozone layer and delay recovery of the Antarctic ozone hole by as much as 70 years, according to an analysis by Simone Tilmes of the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in Boulder, Colorado. This is the ozone layer that is high above Earth and protects against harmful UV rays, not the ground level ozone that is a harmful pollutant.

``While climate change is a major threat, more research is required before society attempts global geoengineering solutions,‘’ said Tilmes.

Overall, global temperatures have been increasing for more than a centur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began adding gases like carbon dioxide to the air. But there have been similar plateaus, such as during the post-World War II era when industrial production boosted sulfur emissions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Kaufmann explained.

Atmospheric scientists and environmentalists are concerned that continued rising temperatures could have serious impacts worldwide, ranging from drought in some areas, changes in storm patterns, spread of tropical diseases and rising sea levels

 

(관련기사)

온난화 주춤한 건 아시아 대기오염 때문


계속 올라가던 지구 기온이 1998~2008년  사 이에 일시 주춤했던 것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대기 오염 때문이라는 뜻밖의  연 구가 발표됐다.

미국 보스턴 대학과 하버드 대학 과학자들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연 구보고서에서 사람의 활동에 따른 온난화가 주춤한 것은 경제 성장으로 중국의 석탄 사용량이 급증해 대기 중 황 성분이 많이 늘어나 냉각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제시했다.

이들은 그러나 신흥 경제 대국들이 대기 오염을 줄여나가 이런 상쇄 효과가  사 라지면 다시 기온이 급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했던 1998년 이후 10년 중 9년은 기상 관측 사상 더운 기 간이었지만 지구 표면 온도가 계속 오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2009년과 2010년에는 이런 온난화 정체 현상이 사라져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0년은 1998년과 더불어 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되고 있다.

학자들은 이에 대해 대기 오염, 그중에서도 특히 아시아에서 배출된 황 성분이 대기 중에 물방울이나 연무질로 구름을 형성해 햇빛을 반사시켰기 때문에 온난화가 주춤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03~2007년 사이 중국의 석탄 사용량은 2배 이상 늘어났으며 이는 전  세 계 석탄 사용량을 26%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최근 중국 지도자들은 대기  오 염이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해 탈황 장치 설치를 서두르고 있다.

황 성분은 보충되지 않으면 대기 중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지만 이산화탄소 는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되기 때문에 온난화 현상이 다시 기승을 부리게 된다.

연구진은 산업 혁명으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대규모로 방출된 이후 100여년 에 걸쳐 지구 기온은 계속 올라가고 있지만 2차대전 이후 1970년대까지는  주춤했다 면서 이는 전후 산업 생산이 급증해 지구 곳곳에서 황 배출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라 고 지적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산성비에 대한 우려로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시행되면서 다시 온난화 현상이 계속됐다.

일부 과학자들은 대기 중에 황 입자를 살포해 냉각 효과를 이용하는 이른바 `지 구 공학 기법‘을 제안하기도 하지만 연구진은 이런 방법을 사용할 경우 북극의 오존 층이 사라지고 남극 오존 구멍 회복은 70년이나 늦어질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기 과학자들과 환경운동가들은 온난화가 계속되면 가뭄과 폭풍 패턴의 변화, 열대성 질병 확산, 해수면 상승 같은 심각한 문제들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소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