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함이 훈련·정비 중이었다", "그렇게 빨리 침몰하리라곤 생각 못했다. 출동하기에 바빴다."
탑승객을 내버린 채 도망쳐 나온 세월호 선장과 승무원에게 비난이 빗발치는 사이 구조에 나선 해경, 군(軍)은 아무런 책임도 없는 양 변명만 잔뜩 늘어놓고 있다.
시민, 유가족들은 "출동한 해군, 해경은 절체절명의 순간 왜 선내로 들어가지 않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사지에도 뛰어들던 '막강 국군'은 어디로 가고 세월호 주변만 맴맴 돌았느냐"고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승무원과 관제센터가 우왕좌왕하며 승객 구조 '골든 타임'을 놓친 데 이어 현장 에서 또다시 귀중한 시간만 허비한 채 침몰하는 여객선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는 '이유'는 이렇다.
출동 지시를 받고 사고 당일(16일) 오전 9시 30분께 현장에 최초 도착한 목포해 경 123함(110t)은 경비함으로서 선내 진입 요원이 없고 장비도 갖춰지지 않았다.
이후 해경 구난 헬기가 도착했지만 여기에도 선내 진입 인력이나 장비가 없었다 . 헬기에 무게가 엄청난 장비를 실을 수 없고 출동 후에도 여객선이 침몰하리라는 생각을 못했다는 게 해경의 변명이다.
바다에 빠진 탑승객을 구조하는 데 신속한 출동이 한몫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해군도 마찬가지다.
구조함은 훈련이나 정비 중이었다. 구조함 한 척은 충남해역에서 사격 훈련을 하고 있었고 다른 함은 정비 중이었다.
사고 해역과 가장 가까운 쪽인 신안 흑산해역에서 작전 중 신속하게 투입된 유 도탄 고속함은 최고 속력(40노트)로 달려와 오전 11시께 현장에 도착했다. 유도탄 고속함은 작전용이다.
이후 해군은 링스와 UH-60 헬기를 띄웠다. 링스헬기는 잠수함 탐색이 본래 임무이고 UH-60 헬기는 특수 목적의 인원 이송용 헬기다.
구조함은 출동 지시가 내려진 직후 어청도와 거제 해역에서 최고 속도로 달렸지만 전투함보다는 느려(12∼15노트) 다음날 새벽 현장에 도착했다. 이미 여객선은 가라앉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해군은 헬기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구명환을 바다에 투하하는 등 할 수 있는 역할을 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해경 자료에 따르면 단 한 명의 인명도 구조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의 한 관계자는 "UH-60헬기는 진해에서 SSU, UDT 대원을 최대한 빨리 투입 시키기 위해 출동한 것이며 구조함은 출동지시를 받고 훈련과 정비를 중단하고 신속 하게 이동했다"고 해명했다.
당시 선내 진입 장비를 갖춘 특수요원이 신속하게 도착했다면 더 많은 인명이 구조됐을 것이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이런 가운데 목포해경 123함 이형래(37) 경사는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선체에 올라가 구명벌을 터뜨렸다. 구명조끼를 흔들며 구조를 요청한 탑승객 6명을 동료 직원과 함께 구조했다.
선체 내 진입이 늦어지는 사이 세월호는 오전 11시 18분 선수 부분만 남기고 물에 가라앉았다. 오후 2시 특수구조인력이 투입됐지만 선내 진입은 하지 못했다. 사고 발생 9시간 만에야 비로소 진입에 성공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