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제5차 핵실험 준비 징후가 속속 포착되는 상황에서 핵실험 도발 시점 뿐 아니라 시간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1차(2006년 10월 9일)와 2차(2009년 5월 25일), 3차(2013년 2월 12일), 4차(2016년 1월 6일) 때 모두 한국시각으로 오전 10∼12시 사이 핵실험을 했다.
지진파 기록으로 세부적인 시간대를 보면 1차 때는 한국시간으로 오전 10시 35분, 2차는 오전 9시 54분, 3차는 오전 11시 57분, 4차는 오전 10시 30분에 이뤄졌다.
이 때문에 북한이 이번 5차 핵실험도 이런 시간대에 실시할지 주목된다.
|
(Yonhap) |
물론 핵실험은 지하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기상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특정한 시간대를 고정할 필요는 없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19일 "인공위성 발사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간과 기상조건 등이 핵실험에는 별다른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다만, 핵을 보유하려는 국가들의 핵실험은 대외에 과시하려는 의도가 더 강하기 때문에 적당한 시간대를 고르는 것도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 방법일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그간 네 차례 핵실험을 오전 시간대로 선택한 것은 미국과 중국 등을 염두에 둔 속셈이 아니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은 미국에 자신들의 명확한 입장이나 주장을 전달하고자 할 때는 평양 시간으로 자정을 택하는 사례가 있다. 미국인들이 일과를 시작하는 시간대임을 염두에 둔 의도로 보인다.
북한의 과거 핵실험 사실은 중국시각으로는 오전 9∼11시 사이에 중국에 속보로 타전됐는데, 이는 북한이 중국 당국에 강력한 메시지를 주기에 적절한 시간대라는 분석도 나온다.
양무진 교수는 "북한이 오전 시간대를 택해온 것은 일차적으로는 중국, 한 걸음 더 나아가 미국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사례로 미뤄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한다면 또 비슷한 시간대를 택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반면 북한이 4차 핵실험 후 석 달여 만에 핵실험을 한다면 '3년 주기'라는 기존의 패턴을 깨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번에는 핵실험 시간대를 달리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핵실험 시기와 관련해 북한이 최근 공중폭발한 무수단 미사일을 재차 발사한 뒤 다음 달 초로 예정된 노동당 7차 대회에 앞서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점치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