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한국어판

'야근 못하는 유전자' 실존, '왜 나만 피곤한가'

똑같이 야근해도 사람에 따라 수면장애나 체력소진 등 후유증을 훨씬 더 크게 느끼는 이유가 뭘까?

교대근무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하지 못하는 여러 이유 가운데 하나가 유전자 변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 메디컬뉴스투데이 등에 따르면, 핀란드 헬싱키대학 틸나 파우니오 교수팀은 생체리듬이 깨지는데 남들보다 취약한 것이 '멜라토닌 1A 수용체' 유전자 변이와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23RF)
(123RF)

멜라토닌은 뇌 송과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체시계 조절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해가 진 이후에야 주로 생산되며 부족하면 수면장애, 너무 많으면 우울증과 무력감 등이 나타난다. 연구팀은 교대근무를 하는 요양보호 및 항공 분야 등 종사자 750여 명의 유전체를 분석하고 근무와 관련한 피로도와 졸림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교대근무에 취약한 사람들의 멜라토닌 1A 수용체 부근에서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이 변이는 유전자의 기능 조절과 관련된 DNA메틸화라는 생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주어 수용체의 활동을 저해한다. 이로 인해 뇌에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멜라토닌 신호전달량이 줄어든다.

연구팀은 결국 이 변이 유전자가 교대근무에 더 취약한 것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 변이 유전자만으로 교대근무와 관련한 개개인의 차이를 모두 설명할 수는 없고 다른 요인들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개인별 교대근무 적응력 여부를 결정하는 잣대로 삼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야근 등 교대근무가 잦고 장기간 지속하면 수면장애, 고혈압, 위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노화도 훨씬 빨리 진행된다는 등의 연구결과들은 이미 여럿 나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수면' 최근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소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