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한국어판

아시아가 유럽보다 코로나19에 강한 이유는?

100만명당 사망자 유럽·미국 수백명대…아시아 10명 안돼

(미국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
(미국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 대유행 이후 나타난 특징 중 하나는 아시아국가의 사망률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훨씬 낮다는 점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과학자들이 위생과 방역, 기후, 바이러스 변이, 면역력, 비만율 등 다양한 관점에서 원인을 규명하고 있지만 아직 결론을 내진 못한 상황이라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인구 100만명당 코로나19 사망자는 아시아의 경우 중국이 3명, 일본이 7명, 파키스탄이 6명,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5명, 인도가 3명이다. 베트남과 캄보디아, 몽골은 0명에 가깝다.

반면 미국은 100만명당 사망자가 300명에 근접했고, 유럽 국가도 코로나19 피해가 큰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의 경우 500명을 넘어선다. 방역이 잘 됐다는 평가를 받는 독일도 약 100명이다.

WP는 우선 사회적 통념을 거론했다.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겪은 아시아가 코로나19에 더 빨리 대응한 반면 미국과 유럽은 먼일처럼 생각하며 초기 대응을 주저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초기 대응이 빨랐다고 볼 수 없는 일본과 인도의 사망률이 낮은 것은 과학자들을 당황하게 만드는 부분이라고 WP는 지적했다.

기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과 습도가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일부 연구 결과가 있는 가운데 캄보디아, 베트남, 싱가포르가 이런 기후대에 속한다. 그러나 브라질과 에콰도르 등 다른 적도 국가에선 발병과 사망자가 많아 기후로만 설명할 수도 없다.

인구학적으로 평균 연령이 낮은 아프리카가 이탈리아 북부의 고령 사회보다 바이러스에 더 큰 저항력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최고의 고령화 국가인 일본에는 대입시키기 어렵다.

바이러스 변이도 요인으로 꼽힌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연구는 바이러스가 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확산하면서 저항력을 극복하기 위해 변이됐을 가능성에 주목한 바 있다.

또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의 과학자팀은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가 유럽과 미국에 퍼졌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변이 출연의 의미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한다.

유전자와 면역체계의 차이 가능성 역시 있다. 노벨상을 받은 일본 면역학 전문가인 다스쿠 혼조는 아시아계와 유럽계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체계의 대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에서 큰 차이를 갖고 있다면서도 이것이 유일한 이유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지바대 과학자들도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를 입증할 증거가 없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츠히코 코다마 도쿄대 교수는 동아시아에는 수백년간 코로나바이러스가 출현한 역사가 있다며 일본인의 면역 체계는 코로나19가 마치 이전에 노출된 적이 있는 바이러스인 것처럼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는 예비 연구 결과를 전하기도 했다.

일본에선 결핵 예방용인 BCG 백신 접종률이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도 있다. 이 백신이 세포 단위에서 면역을 증강하는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이 역시 일본과 프랑스의 BCG 백신이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양국 간 사망률 차이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코로나19의 위험 요인인 비만에서 국가 간 차이가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도 진행 중이다. 코로나19 피해가 큰 미국(36%), 영국(28%), 스페인(24%), 이탈리아(20%) 등 서구 국가의 비만율이 높은 반면 중국(6%), 한국(5%), 일본(4%), 베트남(2%) 등 아시아 국가는 낮다.

WP는 "모든 역학 연구가 불완전한 자료로 어려움을 겪고 초기 수치에서 도출된 결론도 새로운 자료가 나오면서 없어질지 모른다"며 전문가들은 여전히 연구 초기 단계로서 질문에 답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소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