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소득은 2.8%, 60대는 6.8% 늘어…세대간 격차 확대
소득 감소하자 소비 더 크게 줄인 청년층…비자발적 '축소지향'
지난해 20∼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청년 취업난이 심해진데다 직장을 얻더라도 비정규직인 경우가 많아 생긴 일로 분석된다.
|
(Yonhap) |
8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1만6천원으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사회 활동을 활발하게 시작하는 연령대인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줄어든 것은 2003년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20∼30대 가구 소득 증가율은 2011년 5.2%, 2012년 2.9%, 2013년 7.4% 등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2014년 0.7%로 쪼그라들더니 지난해 급기야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20∼30대 월급쟁이 가구의 지난해 근로소득이 0.8% 줄면서 사업소득·재산소득 등을 포함한 전체 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가 됐다.
소득이 줄어든 연령대는 20∼30대뿐이다.
지난해 40대 가구 월평균 소득은 495만9천원으로 2.8% 늘었고, 50대 가구는 505만5천원으로 2.0% 증가했다.
60대 이상 가구 소득(300만4천원)은 6.8%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과 중장년층 가구의 소득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20∼30대 가계소득이 뒷걸음질친 원인으로는 청년실업이 가장 먼저 꼽힌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9.2%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그나마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 일자리를 잡거나 생계형 창업을 하는 등 고용의 질이 악화되는 상황이어서 소득 수준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20∼30대 가구는 소득 감소 폭보다 지출을 더 많이 줄였다.
비자발적으로 '축소지향적' 생활을 한 셈이다.
지난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20∼30대 가구의 지출이 줄어든 것 역시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이들은 실제 주거비(월세) 지출이 26.6% 급증하자 의류·신발(-9.3%), 가구·가전제품 등 가사용품 및 가사서비스(-10.7%) 등 생존과 직결되지 않는 항목의 지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백웅기 상명대 교수는 "20∼30대 가구의 소득·지출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 청년실업일 것"이라며 "청년실업은 우리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지만 실업급여 지급 조건 완화 등의 수단이 나올 뿐 구조적 원인에는 손을 대지 못하고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백 교수는 "올해 총선, 내년엔 대선이 있지만 정부가 정치권의 눈치를 보지 말고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과감하게 추진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