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한국어판

韓 내년 성장률 2%대 초반 가능성…"잠재성장률 3% 무너졌다"

신흥국들이 만성적인 저성장 시대에 진입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원자재 가격 급락과 중국의 성장둔화로 주요 신흥국들이 경기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대 성장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대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신흥국 성장률 2010년 대비 반토막…저성장시대 개막

21일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국과 브라질,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을 포함한 24개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은 2010년 7.6%에서 2014년 4.5%, 올해 3%대 후반으로 떨어지면서 거의 반토막이 났다.

올해 중국과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모두 3년째 성장률이 둔화됐다.

이에 따라 신흥국과 선진국간 성장률 격차는 2%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졌다. 이는 2003∼2008년 기록했던 4.8%포인트의 절반을 밑도는 수치다.

이로써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됐던 신흥시장 '황금시대'는 막을 내린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신흥국이 성장둔화에 빠져든 원인으로는 세계교역 감소, 원자재 가격 급락, 재정여건 악화, 생산성 둔화, 정책적 불확실성 등이 꼽혔다.

세계은행은 "수년간 강력한 성장세를 기록해온 신흥국들은 이제 기로에 도달했다"면서 "2010년 이후 신흥국의 성장둔화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저성장시대의 개막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신흥국들은 1980년대 초반부터 2008년까지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세계 경제의 지형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했다.

2000년대 들어 신흥국들은 세계경제 성장의 주된 엔진으로 부상했다. 2000∼2008년 신흥국의 세계경제 성장 기여도는 52%, 2010∼2014년에는 60%에 달했다.

(Yonhap)
(Yonhap)

전 세계 무역에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4년에서 2014년까지 16%에서 32%로 급상승했다.

2014년 신흥국에 유입된 민간자본은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전 세계에 유입된 민간자본의 20% 수준이다.

신흥국들은 서로 활발히 교역했다. 2014년 신흥국 수출에서 다른 신흥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은 30%로, 2000년에 비해 2배 가까이 확대됐다.

◇ 한국경제 내년에도 2%대 성장…저성장 본격화 우려

한국 경제성장률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대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9월 전망한 2.7%에서 최근에 2.5%로 0.2%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앞서 현대경제연구원(2.8%), 한국경제연구원(2.6%)도 2%대 전망을 내놨다.

정부의 3.1%나 한국은행 3.2%, 한국개발연구원 3.0%를 제외하면 민간연구기관과 외국계 투자은행 사이에서는 2%대 성장 전망이 대세다.

노무라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수출 부진으로 2.5%에 머물 것으로 진단했다. 또 데카방크 2.1%, 모건스탠리 2.2%, 다이와증권 2.3%, 씨티그룹 2.4%, 도이체방크 2.8%로, 골드만삭스 2.9% 등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2012년 3.8%에서 최근에는 3.0∼3.2%로 낮춰잡아 본격적인 저성장시대를 예고했다.

서영경 한은 부총재보는 "잠재성장률을 다양한 모형으로 추정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대 중반에서 2015∼2018년에는 3.0% 내지 3.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내년 이후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잠재성장률이 10년 후 1%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경고도 이미 나온 바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 추세가 지금 이대로 유지되면 2026~2030년 잠재성장률은 1.8%까지 떨어진다.

KDI 관계자는 최근 한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이미 3% 또는 그 이하로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10년 후에는 1% 성장시대에 직면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풀려면 우리 사회에 남아있는 비효율적인 영역을 개혁해서 성장률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은 관계자도 "잠재성장률은 대략 5년 성장률의 평균치인데, 계속 떨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2%까지 보는 기관도 있다"면서 "저성장은 이미 추세이고 잠재성장률은 계속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경제동향실장은 "잠재성장률과 실질성장률은 다른데, 올해와 내년의 2%대 경제성장은 경기가 안좋아 실제 실력에 비해 성장을 덜하는 상황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소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