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한국어판

"고령화로 2030년대 경제성장률 연 1%대 추락 가능성"

우리나라가 출산율 저하에 따른 고령화로 앞으로 15년 후에는 연간 경제성장률이 1%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 2015년도 동계 정책심포지엄'에서 고령화 추세를 감안해 우리 경제의 성장 전망치를 이같이 추정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합계 출산율이 1.2명에 그치는 등 빠른 고령화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내년부터 감소해 2020년부터는 연간 1∼2%씩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최근 3.0% 안팎에서 2020년대에는 2%대 초반으로, 2030년대에는 1%대에 머물 수 있다고 이 연구위원은 전망했다.

특히 2031∼2035년 실질 GDP 증가율은 1.4%로 제시됐다.

실질 GDP 증가율에 저축 같은 물적자본이 0.5%, 대외개방도·연구개발투자 등 총요소생산성이 1.3% 기여하지만 취업자 감소가 GDP를 0.4% 낮춘다는 것이다.

(Yonhap)
(Yonhap)

GDP 증가율 기여도는 2001∼2010년의 경우 물적자본이 2.0%, 총요소생산성이 1.6%, 취업자 수가 0.7%로 분석됐다.

가용 노동력 감소와 자본의 축적률 저하가 2030년대까지 크게 떨어지면서 경제 성장률을 낮출 것으로 이 연구위원은 예상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연령대별 고용률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가더라도 성장 추세의 저하를 상쇄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주요 원인으로 65세 이상의 고령층 급증을 들었다.

또 고령화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를 막는 대책으로 노년세대의 경제활동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연구위원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 비중이 커진 점 등을 근거로 고령 친화적인 노동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년 제도는 사업장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유연한 연금수령 조건으로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준경 KDI 원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소득분배가 악화되고 세대 간 격차가 확대되면서 사회통합의 힘이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개혁 및 규제개혁, 부실기업 구조조정, 노동시장 개혁 및 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창조적 인력을 양성하는 구조개혁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좌승희 영남대 석좌교수는 한국 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육성정책을 성과중심으로 전환하고 대기업에 대한 투자 규제를 획기적으로 자유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소아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