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11%까지 치솟았던 청년 실업률이 7%대로 떨어진 가운데 청년 취업자 증가세를 20대 초반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수가 비정규직이거나 저임금의 불안정한 일자리에 취업해 '속 빈 강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올 1∼10월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6만2천명 증가했다.
이 기간 20∼24세 취업자가 6만5천명 늘어난 반면에 15∼19세 취업자는 1천명 줄었다.
주요 취업층인 25∼29세 취업자도 3천명 감소했다.
올해 청년 취업자 증가분의 100%를 20∼24세가 채운 셈이다.
20대 초반 취업자가 증가한 것은 이 연령대 인구가 25∼29세보다 많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올해 20∼24세 인구는 4만9천명 증가하는 동안 25∼29세 인구는 9천명 느는 데 그칠 것으로 추산된다.
그렇다고 해도 20대 초반 취업자 증가 폭은 인구 증가 폭을 크게 넘어선다.
지난해 20∼24세 인구가 7만8천명 증가할 때 취업자는 8만1천명 늘었고 올해도 취업자가 인구 증가 규모보다 1만6천명 많다.
인구 증가와 함께 일-학습병행제, 선(先)취업 후(後)진학 등 정부 정책도 20대 초반 취업자를 늘린 원인으로 꼽힌다.
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청년층이 늘어나면서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은 동반상승하고 있다.
|
(Yonhap) |
이처럼 청년 고용과 관련한 지표는 점차 좋아지고 있지만 정작 청년층은 지표 호조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어렵사리 노동시장에 진입했지만 많은 수가 비정규직·저임금 등 불안정한 일자리에 취업해 근무환경이 녹록지 않아서 그렇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층 비정규직은 올해 3월 기준 117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천명 늘었는데, 1주일에 36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의 증가가 큰 역할을 했다.
청년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근로자는 53만6천명으로 7만2천명(15.5%) 늘었다.
취업이 어려워진 청년층이 대안으로 음식·숙박업소 아르바이트 등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특히 고용 증가를 주도하는 20∼24세에서 시간제 근로자 증가세가 가팔랐다.
2007년(3월 조사 기준) 20∼24세 취업자의 10.1%였던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2008년 15.7%로 급격히 뛴 이후 2012년 18.4%, 2014년 20.6%, 올해 22.9%로 늘었다.
20대 초반 취업자 4명 중 1명 정도는 시간제 근로를 하는 셈이다.
김복순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청년층 취업자 수 증가는 시간제 근로나 저임금 일자리 같은 고용이 불안정하고 근로조건이 열악한 일자리 위주여서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특히 청년층 가운데 최저임금도 못 받는 근로자 비중이 올해 3월 15.6%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증가했다"며 "이는 시간제 근로자가 증가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 취업 애로계층이 지난 9월 기준으로 106만명에 이른 것도 '체감 고용지표'가 얼어붙은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신규 채용을 할 때 신입을 뽑기보다는 훈련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드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들이 갈수록 늘면서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다.
기업의 경력직원 채용 비중은 2011년 19.7%에서 2013년 21.9%, 올해 27.1%까지 증가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청년 고용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기에 민감하다"며 "내수 경기가 회복되는 것이 우선이고, 구조개혁을 통해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해소돼야 일자리의 양과 질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