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기를 생산하는데 들어간 돈은 총 42조원으로 이중 40%인 15조원을 석탄발전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만에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탈(脫) 석탄'을 추진 중인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석탄 의존도는 갈수록 심화되는 모습이다.
|
(Yonhap) |
18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총 전력거래금액, 즉 전력을 생산한 대가로 발전업자에게 지급한 돈은 41조6천억원으로 전년(44조4천억원) 대비 6.2% 감소했다.
전력거래금액을 발전 연료별로 보면 석탄이 전체의 34.9%인 14조5천200천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액화천연가스(LNG)가 32.3%(13조4천500억원), 원자력이 23.7%(9조8천500억원)였고, 신재생에너지는 전체의 4.7%인 1조9천100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유가가 떨어지고 신규 발전소가 대거 시장에 진입함에 따라 한전이 전력시장에서 구입하는 도매가격인 SMP가 대폭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전체 전력거래금액도 덩달아 줄었지만 석탄발전은 전년 대비 11% 이상 늘어났다. 금액으로는 무려 1조5천억원이 증가했다.
지난 2006년 석탄발전에 지급한 전력거래비용이 5조2천500억원에 불과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3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지난해 LNG 전력거래금액은 전년 대비 26.4% 급감했고 신재생에너지도 10.6% 줄었다.
이같은 현상은 발전시장에서 석탄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거래된 전력은 모두 49만5천400기가와트시(GWh)로 역대 최대였다. 이중 석탄 비중은 무려 40.6%로 사상 처음으로 20만GWh를 넘었다.
석탄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이다. 영국이 오는 2025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시설을 전면 폐쇄키로 하는 등 선진국들은 이미 탈 석탄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나홀로 석탄 편중'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석탄발전설비 총 용량은 28.6GW로 우리나라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28.9%를 차지했다.
올해도 당진 9·10호기, 삼척그린 1·2호기, 태안 9·10호기 등 8.7GW 규모의 석탄발전 시설이 신규가동되는 것으로 예정돼 있어 석탄을 통해 생산되는 전기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탄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늘리고 있어 대비된다"면서 "현 상태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