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Exclusive] Weverse accused of exploiting labels, fans with new mandatory paid-membership service

Hybe’s fan platform to launch new paid-membership on Dec. 1
Weverse to take up to 60% commission under new subscription-based service
Fans criticize new tiers, questioning value of “exclusive benefits”

Weverse Co. CEO Joon Choi stands to answer a question during a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audit at the National Assembly in Yeouido, Seoul, on Oct. 7. (Yonhap)
Weverse Co. CEO Joon Choi stands to answer a question during a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audit at the National Assembly in Yeouido, Seoul, on Oct. 7. (Yonhap)

Weverse Company, a global fan platform run by Hybe, is facing backlash for alledgely forcing its partner labels into a mandatory paid membership service, sparking accusations of monopolistic practices. The new "digital membership" service, set to launch on Dec. 1, compels over 130 music labels to participate, raising concerns about coercion, unfair revenue-sharing and exploiting fan loyalty for profit.

According to Rep. Lee Jung-mun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everse emailed 130 partner labels on Sept. 26, informing them of the new subscription-based service tentatively called "digital membership" and mandating their participation.

"Digital membership is a service offering fans exclusive digital benefits, primarily accessible through Weverse. This membership is mandatory for all artist communities hosted on Weverse, allowing fans to subscribe to individual community memberships on a monthly basis and selectively access digital membership services," Weverse wrote in an email, which The Korea Herald exclusively obtained on Oct. 7.

'Unfair' revenue sharing

Weverse already provides a paid community membership option priced at 30,000 won ($24) annually, offering perks like early ticket access and exclusive content, determined by the artists and their labels.

However, the new service adds extra features such as offline access, ad-free video streaming and higher-quality VODs -- similar to YouTube’s premium service. To offer these benefits, labels are forced into a revenue-sharing arrangement with Weverse, a deal many reportedly find unfavorable.

The proposed revenue split, according to an anonymous source, sees labels receiving between 40 percent and 70 percent of profits, while Weverse retains a hefty 30 percent to 60 percent. This significant cut, depending on subscription tier, has sparked discontent among partner labels, who believe the portion Weverse keeps is disproportionate. The monthly subscription prices range from 2,700 won to 5,400 won ($2 to $4).

An email sent by Weverse to over 130 partner labels on Sept. 26 introduces a new paid membership service, scheduled to launch on Dec. 1. (Rep. Lee Jung-mun's office)
An email sent by Weverse to over 130 partner labels on Sept. 26 introduces a new paid membership service, scheduled to launch on Dec. 1. (Rep. Lee Jung-mun's office)

While major labels listed on the Weverse platform such as YG Entertainment and SM Entertainment may not be thrilled with this revenue-sharing model, their larger fanbases allow them to generate bigger profits compared to smaller labels, even with the same level of content output. Yet, smaller labels are particularly wary, with one label telling Rep. Lee the proposal is not only unattractive but could also harm artists’ reputations by appearing to exploit fans for money. The mandatory approach suggests that Weverse fears labels might decline to join the service if it is made optional.

Labels with little choice

Abandoning Weverse, however, is not an option for most labels. The platform has an unchallenged grip on the K-pop fandom market.

As of June, Weverse boasted 10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reinforcing its dominant position. Of the 152 teams hosted on Weverse, 137 are not Hybe-affiliated, showcasing its extensive reach. The platform caters not only to Hybe's groups like BTS, NewJeans and Seventeen, but also to acts from other K-pop giants like Blackpink, aespa, and EXO. Its only real competitor, SM Entertainment's Bubble, has just 2 million paid users, and that number is steadily declining.

In this monopolistic market structure, labels on Weverse feel pressured to comply with the new membership program, though no details have been provided about potential consequences for non-participation, according to sources.

Hybe declined to comment on the issue.

"Weverse, operated by Hybe, has been criticized as an irreplaceable, monopolistic platform in the K-pop industry, controlling everything from live content and merchandise sales to fan community management," Rep. Lee said Tuesday.

"Labels have become so dependent on Weverse that they can no longer conduct fan marketing without it. The Fair Trade Commission needs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se new forms of monopolistic practices and determine whether unfair treatment is occurring against affiliated companies using the platform," Lee noted.

Some fans call new membership perks worthless

K-pop fans, too, are voicing dissatisfaction. They argue that the "exclusive benefits" offered by the new membership tiers provide little additional value.

Park, a 25-year-old K-pop fan who uses Weverse, finds the new perks less appealing, particularly because opportunities to use them are infrequent.

Baekhyun, Xiumin and Chen, members of K-pop group EXO, on Weverse platform (Weverse)
Baekhyun, Xiumin and Chen, members of K-pop group EXO, on Weverse platform (Weverse)

"It's often joked among fans that the only real benefit of the membership is early concert ticket access. Even that is limited if the artist doesn’t hold many concerts, which lowers the overall value of the membership," Park told The Korea Herald on Wednesday.

Fans also pointed out that content like artist-produced videos or live streams, once free on platforms like YouTube, V Live, and Instagram, are now being monetized through Weverse. This shift has left fans feeling like their loyalty is being exploited for profit.

While fans understand that Weverse, as a business, needs to generate revenue, many feel that the new membership tiers offer perks that are either unnecessary or too similar to the existing membership. Bonuses like early concert ticketing, fan event raffles and ad-free streaming are not new, so little value is added for existing fan club members.

"The monetization of artist content under the guise of ‘new benefits’ feels like turning fans into cash cows," Park added.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fans are seen as mere revenue sources, rather than being appreciated for their support."

위버스, 12월 1일부터 새로운 유료 멤버십 강제 도입…레이블과 팬 착취 논란

하이브, 12월 1일 유료 멤버십 서비스 야심차게 출범…최대 60% 수수료 논란

새로운 구독 서비스에 팬들 반발…“독점 혜택”의 가치에 의문 제기

하이브가 운영하는 글로벌 팬 플랫폼 위버스가 오는 12월 1일부터 새로운 유료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파트너 레이블사들을 사실상 강제로 참여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코리아헤럴드가 10월 7일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실로부터 단독 입수한 이메일에 따르면, 위버스는 지난 9월 26일 130개 파트너 레이블에 새로 런칭하는 ‘디지털 멤버십’이라는 구독 기반의 서비스의 참여를 12월 1일부로 의무화한다고 통보했다. 해당 서비스는 팬들에게 위버스를 통해 독점 디지털 혜택을 제공하며, 모든 아티스트 커뮤니티에 월 구독제로 적용될 예정이다.

기존에 제공되던 유료 멤버십과 크게 차별화된 혜택 없이 위버스에 유리한 수익 배분을 추구하는 이번 디지털 멤버십 서비스는 위버스에 입점한 레이블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다수의 레이블사들은 기존 멤버십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레이블에 불리한 수익 배분 구조

위버스는 현재 연 3만 원의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통해 팬들에게 공연 및 이벤트 티켓 선예매 자격과 전용 아티스트 콘텐츠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기존 멤버십에 추가로 도입되는 디지털 멤버십 혜택으로는 광고 영상 제거, VOD 오프라인 저장, 영상 시청 부가 기능(보이스 강조, AI 업스케일링, 색감 향상), 디지털 멤버십 회원 전용 마크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규 멤버십 구독자들은 월 2,700원, 3,900원, 5,400원 판매 금액 중 한 가지 유형을 선택하면 되고, 위버스는 금액별로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익명의 제보자에 따르면, 디지털 멤버십 수익 구조는 구독자 수에 따라 입점 레이블이 40%에서 70%를 배분 받는 방식이며, 모든 레이블과 아티스트에 동일하게 적용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수익 분배 방식에 대해 일부 레이블들은 불만을 제기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형 레이블은 위버스의 높은 수수료가 팬들의 충성심을 “상업적으로 악용”하는 것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대형 레이블인 YG엔터테인먼트와 SM엔터테인먼트 역시 이번 수익 배분 모델에 동일한 적용을 받지만, 이들 레이블은 상대적으로 큰 팬덤을 기반으로 동일한 콘텐츠 제공에도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반면, 소규모 레이블들은 디지털 멤버십으로 얻는 수익이 크지 않아 들어가는 자원에 비해 수익성이 낮아지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해석이다.

독점적 지위에 의한 강제성

6월 기준, 위버스는 월간 1천만 명 이상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하이브의 위버스는 팬 마케팅과 상업 활동에서 독점적 권한을 행사하며, 팬덤 기반 비즈니스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위버스의 유일한 경쟁자인 SM엔터테인먼트의 버블은 200만 명의 유료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하이브의 위버스는 아티스트들의 라이브 콘텐츠 송출, 굿즈 판매, 커뮤니티 운영 등 케이팝 산업에 있어서 대체 불가능한 독점적 플랫폼으로, 위버스에 입점해 있는 소속사(레이블)들은 위버스 없이는 팬 마케팅 자체를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의원은 “하이브와 위버스는 K팝 온라인 상거래·커뮤니티에서 독과점 플랫폼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는데,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독과점 행태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철저히 조사하고, 입점업체들에 대한 불공정 행위가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팬들, 실질적인 변화 없는 혜택에 불만

일부 K-팝 팬들 또한 새로운 유료 멤버십 혜택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25세의 팬 박 씨는 “위버스를 사용하는 팬들 사이에서 돈 주고 멤버십을 구매했는데 결국 사용하는 혜택은 콘서트 선예매 밖에 없다라는 얘기를 우스개 소리를 하게 된다”며 “이마저도 콘서트를 자주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혜택이기에 문제가 크다”라고 설명했다. 새롭게 추가된 혜택이 팬들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팬들은 또한 기존에 유튜브, V 라이브, 인스타그램에서 무료로 제공되던 아티스트 콘텐츠가 유료화된 점도 비판하며, "아티스트와 관련된 모든 부분을 세분화해서 유료화 한다는 것은 팬심을 이용한 장사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하이브의 수익성 확보 전략

하이브는 이번 유료 멤버십 도입을 통해 플랫폼의 수익성을 대폭 강화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위버스는 단순한 팬 커뮤니티 플랫폼을 넘어, 음악·굿즈 판매, 팬 이벤트 등 다양한 수익 창출 수단을 통합하여 하이브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디지털 멤버십의 도입은 하이브가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팬 기반 수익 모델을 극대화하려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이를 통해 팬덤 경제의 안정적 수익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특히 하이브는 디지털 구독 서비스와 팬덤 플랫폼을 연결해, 기존 음악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면서 자체 플랫폼을 통한 팬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있다. 위버스는 전 세계 152개 팀의 아티스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137개 팀은 하이브 소속이 아닌 외부 레이블 소속이다. 이는 하이브가 자사 아티스트뿐 아니라 타 기획사 아티스트 팬들까지도 위버스를 통해 모아서 플랫폼의 경제적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공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By Kim Jae-heun (jaaykim@heraldcorp.com)
MOST POPULAR
LATEST NEWS
subscribe
피터빈트